2024년 9월 6일 금요일

유통관리사 - 주요 출제 ( 재무비율 등) 40문항 소개

 1. 주요 재무비율

유동성 비율 유동비율, 당좌비율

레버리지 비율 부채비율, 이자보상비율, 고정재무비보상비율

활동성 비율 매출채권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

수익성 비율 매출액순이익률, 총자산순이익률, 자기자본순이익률

시장가치 비율 주당이익, 주당배당, 주가수익비율, 주가 대 장부가치비율


2. 유통경로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시장 특성

① 시장밀도(Market Density) : 지리적 영역단위당 구매자의 수

② 시장지리(Market Geography) :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리적 거리 차이

③ 시장크기(Market Size) : 시장을 구성하는 소비자들의 수


3. 옴니채널(omni-channel) : 소비자가 Online, Offline, Mobile 등 다양한 유통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를 의미하며, 각 유통채널의 특성들을 결합하여 어떤 채널에서든 같은 매장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한 쇼핑환경을 의미한다.


4. 정량(계량)적 수요예측 기법

①인과형 모형 : 과거의 자료에서 수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변수들을 찾아낸 다음 수요와 이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미래수요를 예측

②시계열분석 : 과거의 역사적 수요에 입각하여 미래의 수요를 예측

③회귀분석 :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원인변수(독립변수)가 다른 결과변수(종속변수)와 상관관계를 가질때, 독립변수가 변화함에 따라 종속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규명하는 것

④이동평균법 : 단순이동평균법, 가중이동평균법

⑤지수평활법

㉠ 지수평활상수에 의한 가중평균방법으로 수요예측을 하며, 예측오차에 대해 예측치가 조정되는 순발력은 지수평활상수 에 의해 결정된다.

㉡ 지수평활법은 가중이동평균법이 산입기간이 길어지면 가중치를 나누어 주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간편하게 가중치를 자동으로 나누어 주도록 고안되었으며, 최근 데이터에 큰 가중치를 주고싶다면 평활상수를 증가시키는 등 변경과 적용 또한 용이하다.


5. 정성적 수요예측 기법

①델파이법

②시장조사법

③패널동의법

④판매원 의견 종합법

⑤역사적 유추법


6. 채찍효과 경감 방안

불확실성의 감소- 수요정보의 공유와 집중화를 통해 공급사슬상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킨다.

변동성의 감소-수요관리전략을 통해 고객수요 프로세스에 내재하는 변동성을 감소시킨다(항시 저가전략, EDLP)-

전략적 파트너십 - 여러 가지 전략적 파트너십의 도입을 통해 채찍효과를 감소시킨다.

리드타임의 단축

주문리드타임-제품의 생산과 인도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크로스 도킹의 도입을 통

해 감소가 가능

정보리드타임-주문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적절한 정보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감소가 가능

7. 공간균배의 원리- 점포가 입지한 이후 또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점포가 입지하는 경우에 각각의 점포들은 어느 위치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한가를 설명하려는 이론이다.


8. 테넌트(tenant)- 상업시설의 일정한 공간을 임대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상업시설에 입점하여 영업하는 임차점포를 말한다.


9. 소매포화지수(IRS : Index of Retail Saturation)

① 주로 신규점포에 대한 시장의 잠재수요를 측정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지역의 경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만 평가할 뿐 질적(quality)인 측면은 고려하지 못한다.

② 현재 특정 지역의 수급상태를 반영하는 지수로서, 지역의 미래시장성장잠재력을 반영하지 못하는단점이 있으며, 이는 시장확장잠재력지수(MEP)로 보완할 수 있다.

③ 마케팅능력의 부족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쇼핑하는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다.

④ 점포가 비슷한 전통적인 슈퍼마켓 등은 적용이 용이하나 스포츠용품 또는 가구류 등 전문화된 점포에는 적용이 어렵다.

⑤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중요한 측정기준이 되나, 최근 급증하고 있는 무점포소매업(On-line) 판매시에는 매장면적이 없으므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0. 시장확장잠재력지수(MEP : Market Expansion Potential)

① IRS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도구로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쇼핑정도(쇼핑지출액) 등을 추정할 수 있다.

② MEP값이 크다는 것은 해당 지역에서 점포의 부족으로 지역주민들이 다른 지역에서 쇼핑이 빈번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점포출점시 성공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③ 어느 지역에서 타 지역으로의 쇼핑의 정도가 높다는 것은 현재 이 지역의 점포포화도는 과소상권이라는 것이다. 즉, 미래에 MEP(시장확장잠재력)가 크다는 것이며, 출점할 지역으로서 매력도가 높음을 암시한다.


11. 구매력지수(BPI : Buying Power Index)

BPI는 지역시장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로서, 상권분석시 기본적인 조사항목에 해당하며,BPI지수가 클수록 시장의 구매력이 큰 상태이므로 시장의 매력도가 큰 지역이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또한 지역에 산업기반 시설들이 조화있게 입지해 있는 경우, 경기변동과 무관하게 BPI는 안정적일 수 있다는 점을 상권분석시 유의해야 한다.

12. 판매활동지수(SAI)

다른 지역과 비교한 특정 지역 내의 일인당 소매매출액을 측정한 것으로, SAI가 높을수록 지역의 구매력은 크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높은 SAI는 비거주자의 구매력이나 특정 기업체의 대량구매, 소수 거주자의 대량구매 등에 의해서 나타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13. 회귀분석모형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독립변수를 파악하여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상관관계를 선형관계식(최소자승선)으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이를 통하여 독립변수가 변화할 때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14. 넬슨(Nelson)의 입지 8원칙

상권의 잠재력, 상권의 접근가능성, 성장가능성, 중간저지성, 누적적 흡인력, 양립성, 경쟁의 회피, 용지의 경제성


15. 마케팅 관리

①마케팅 믹스(4P) : 제품(product), 가격(price), 프로모션(promotion), 유통(place)

②서비스마케팅 요소(7P) : 4p + people(사람), process(절차), physical evidence(물리적 증거)

③최근 경향(4C) : 고객(consumer), 비용(cost), 편의성(convenience),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16. 수직적 마케팅시스템(VMS)

경로구성원들은 거래처의 선택, 관계 유지에 있어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유통단계를 안정화하여 생산자 → 도매상 → 소매상 등 유통구성원들이 하나의 통일된시스템을 이루게 하는 유통경로시스템을 말한다.

17 수평적 마케팅시스템(HMS)

새로운 마케팅기회를 개발하기 위해 동일한 경로단계에 있는 두 개 이상의 무관한 개별기업들이 재원이나 프로그램을 결합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말하며, 공생적 마케팅시스템이라 하기도 한다.

18. 서비스품질(SERVQUAL)의 5개 차원(RATER)

① 신뢰성(Reliability) : 서비스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② 확신성(Assurance) : 고객에 대해 직원들의 능력ㆍ예절ㆍ신빙성ㆍ안전성을 전달하는 능력

③ 유형성(Tangible) : 눈으로 구분가능한 설비나 장비 등 물리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외양

④ 공감성(Empathy) : 고객에게 제공하는 개별적인 배려와 관심을 나타내는 것

⑤ 대응성(Responsiveness) : 고객에게 언제든지 준비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


19.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의 제품의 세 가지 차원

① 핵심제품(core product) : 소비자가 특정 제품으로부터 얻기 원하는 기본적인 편익을 핵심제품이라고 하는데, 이는 소비자의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특성으로서의 제품개념

② 유형제품(tangible product) : 구매자가 느낄 수 있는 특정한 형태로서의 제품개념으로 실체 제품이라고도 한다. 핵심제품에 품질수준, 상표명(브랜드), 스타일, 패키징, 기타의 특성 등 5가지 특성을부여했을 때의 제품수준

③ 확장제품(augmented product) : 유형제품에 추가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나 혜택을 포함하는 제품개념으로 증폭제품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서비스나 편의가 제공될 때 제품이 진정한 가치를 고객에게제공하게 되며, 이에는 A/S, 대금지불방식, 운반 및 설치, 보증 등이 있다. 최근 인터넷 쇼핑몰 등전자상거래 증가에 따라 중요시 되고 있다.


20. 브랜드의 종류

① 제조업자 브랜드(NB ; National Brand) : 제조업자가 자신의 제품임을 나타낼 수 있는 상품명이나기호 혹은 기업명이나 기호 등으로 표시

16

② 유통업자 브랜드(PB ; Private Brand) : 대형 도ㆍ소매 유통업체가 자신의 제품임을 나타낼 수 있는상품명이나 기호 혹은 기업명이나 기호 등으로 표시

③ No name 브랜드 : 사업자나 소비자가 브랜드의 가치를 전혀 인식하고 있지 못하거나 브랜드의 가치를 전혀 지니고 있지 못한 제품으로, 채소류 등의 농산물이나 종이컵 등의 제품을 의미

21 제품수명주기(PLC ; Product Life Cycle)와 단계별 마케팅

① 도입기 : 제품을 널리 인지시키고 판매를 늘리는 것으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특성과서비스를 추가한 변형제품, 개량제품을 출시함으로써 경쟁제품과 차별화한다.

② 성장기 : 상표를 강화하고 차별화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것으로, 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경쟁을 고려한 가격전략을 선택한다.

③ 성숙기 : 경쟁우위를 유지하고 상표 재활성화를 통하여 수요를 늘리는 것으로, 이미지 광고를 통한제품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제품의 존재를 확인시키는 광고를 행한다.

④ 쇠퇴기 : 단기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찾는 것으로, 가능한 비용을 줄이고 매출을 유지하여 수익을 극대화한다.

22. 가격할인전략

① EDLP(every day low pricing) 전략 : 항시 저가정책으로 모든 상품을 언제나 싸게 파는 것

② HLP(high-low pricing) 전략 : 일반적으로 EDLP 전략보다 높은 가격을 추구하지만, 소비자들을유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기에는 적극적으로 할인된 낮은 가격을 제공하는 가격정책


23. 플래노그램(planogram)

점포 내에 상품을 진열할 때, 상품이 각각 어디에 어떻게 놓여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일종의 진열공간의 생산성을 평가하게 해주는 지침서(또는 계획서, 도표)로, 소매점에서 각각의 재고유지단위(SKU) 품목들의 합리적인 공간배치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각 단품들이 매장 안에 배치될 위치를 정확하게 묘사하는 도표를 의미



24. CRM의 중요성

① 신규고객의 확보보다 기존고객의 유지관리가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등장

② 다양해지는 고객의 욕구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수익의 극대화를 추구하려는 것

③ 개별고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토대로 그들과의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고 충성도를 높여 고객생애가치를 극대화하려는 것

④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고객과의 관계를 새롭게 변화시키려는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의 한 기법(생애가치 개념을 중요시)


25. 척도의 내용

① 명목척도 : 단순히 측정대상의 특성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숫자를 부여하는 경우로 정보의제공량은 가장 적다.

② 서열척도 : 서열척도는 측정대상의 특성이나 속성에 대한 정도에 등급을 부여하는 척도이다.

③ 등간척도 : 속성에 대한 순위를 부여하되 순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척도를 의미하며, 측정의 기본단위가 일정한 간격을 갖는 온도계 눈금, 학년, 각종 지수들이 그 예다.

④ 비율척도 : 등간척도가 갖는 특성에 추가적으로 측정값 사이의 비율계산이 가능한 척도이다.

⑤ 어의차이척도 : ‘의미차별화척도’라고도 하며, 척도의 양끝에 특정 대상의 속성을 나타내는 상호 상반되는 형용사를 제시하고 대상의 특성에 대해 응답자가 가지고 있는 생각을 측정하는 척도측정법을 말한다.

⑥ 리커트척도 : 마케팅 설문조사 등에 많이 활용되는 척도법의 하나로, 응답자가 제시된 문장에 대해얼마나 동의하는지를 답변하도록 한다.


26. 정보의 속성

① 정확성 : 정보는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실수나 오류가 개입되지 않아야 한다.

② 관련성 : 정보는 의사결정과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③ 경제성 : 정보를 산출하는 비용이 적정하여야 한다.

④ 신뢰성 : 정보는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⑤ 완전성 : 정보는 그 내용에 필요한 것이 충분히 내포되어 있어야 한다.

⑥ 단순성 : 정보는 가급적 복잡하지 않고 단순해야 한다.

⑦ 적시성 : 아무리 양질의 정보라도 필요한 시간에 이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27. 비콘(Beacon)

①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② NFC(근접무선통신)보다 가용거리가 길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 서비스에 적합하다(특정 장소에서 안내 서비스, 모바일 쿠폰 제공).

③ 저전력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도 적으며, 실내에서는 GPS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④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개인정보 수집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사용자의 동의가필요 없다는 특성상 원치 않는 스팸들이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NFC보다 보안이 취약).


28. EAN CODE

EAN 코드는 UPC보다 상위 레벨의 코드로 EAN 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는 UPC를 읽을 수 있으나 그 반대는 성립되지 않으며, UPC와 같은 기호로 구성되어 있다. EAN 코드는 13개의 문자를 포함할수 있는데 바코드로 표현하는 것은 12자리이고, 맨 왼쪽의 문자는 수치로 표현되므로 UPC와 동일한 심벌길이인 95X를 가진다.

29.  2차원 바코드의 특징

① 정보가 손상되더라도 상당부분 복구가 가능하다.

② 이미지 스캐닝방식이 활용되므로 전방향에서 인식이 가능하다.

③ 최근 지로용지, 스포츠신문, 광고전단지 등에 인쇄되어 사용되기 시작했다.

④ 1차원 바코드에 비해 100배 이상의 고밀도 정보를 2차원 심벌형태로 코드화한다.


30. GTIN(Global Trade Item Number)-GTIN 코드는 국제거래 단품식별코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거래단품이란 공급체인상에서 가격이 매겨지거나 주문단위가 되는 상품을 말하며,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모든 낱개상품뿐만 아니라 묶음상품, 기업간 주문단위로 이용되는 상자단위도 거래단품의 범주에 포함한다.


31. EPC

GS1 표준바코드와 마찬가지로 상품을 식별하는 코드로, GS1과의 차이점은 바코드가 품목단위의 식별에 한정된 반면, EPC 코드는 동일품목의 개별상품까지 원거리에서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위조품 방지, 유효기간 관리, 재고관리 및 상품추적 등 공급체인에서 다양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이는 헤더, 업체코드, 상품코드, 일련번호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32.  EDI 도입효과

① 직접적 효과 : 문서거래의 감소, 자료의 재입력방지, 업무처리의 오류감소, 업무처리비용의 감소

② 간접적 효과 : 재고감소, 효율적인 인력활용, 관리의 효율성 증대, 고객서비스 향상, 현금흐름 향상

③ 전략적 효과 : 거래당사자 간 관계개선, 전략적 정보시스템 구축, 새로운 사업으로 확대, 경영혁신,경쟁우위 확보


32. POS 데이터의 분류

① 상품 데이터 :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이 판매되었는가에 관한 금액자료와 구체적으로 어떤 상품이 얼마나 팔렸는가에 대한 단품자료로 구분해서 수집ㆍ분석

② 고객 데이터 : 어떤 집단에 속하는 고객인가에 대한 객층자료와 고객 개개인의 구매실적 및 구매성향 등에 관한 개인자료로 구분하여 수집ㆍ분석

③ 점포 데이터(store data) : 특정 점포에서 팔린 품목, 수량, 가격 그리고 판매시점의 판촉 여부 등에관한 자료

④ 패널 데이터(pannel data) : 각 가정단위로 구매한 품목의 수량이나 가격 등에 대한 자료

33.  POS 시스템의 운용 흐름과정

POS 시스템의 업무처리는 스캐너가 상품 바코드를 판독하면서 시작된다. 판독한 정보를 매장 내 메인컴퓨터인 스토어 컨트롤러로 송신하면 스토어 컨트롤러에서 계산대마다 설치된 POS 단말기로 정보가 보내진다. 그 다음으로 POS 단말기에서 영수증 발행 및 인쇄가 이루어지고, 스토어 컨트롤러가 당일의상품판매 관련 각종 보고서를 작성한다.


34. RFID의 특징

① 태그의 데이터 변경 및 추가가 자유롭고, 일시에 대량의 판독이 가능하다.

② RFID의 태그는 냉온ㆍ습기ㆍ먼지ㆍ열 등의 열악한 판독환경에서도 판독률이 매우 높고, 원거리 및 고속이동시에도 인식이 가능하다.

③ RFID 시스템은 바코드에 비해 비용이 높고 스마트카드(smart card)에 비해서는 메모리 용량이 작은 단점이 있다.

④ 바코드는 근거리에서 작동해야 하지만, RFID는 무선신호의 세기에 따라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있다.


35. SCM의 적용

① QR(Quick Response) : 수입의류의 증가로 경쟁력을 잃은 미국의 패션의류업체들이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1985년에 도입되었다. 수입의류가 가지는 가격경쟁력에 대하여 고객서비스에초점을 둔 전략이다(주로 섬유ㆍ의류부문).

②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 1990년대 초 미국에서 슈퍼마켓들의 매출신장률 저조의 해결방안으로 도입된 것으로, 신속ㆍ정확한 재고보충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공급업체-제조업체-유통업체’ 간의 전략적 협조를 기본으로 한다(주로 식품ㆍ잡화 부문).

③ EFR(Efficient Food service Response) : 신선식품 부문에서 신선식품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축한다(주로 신선식품 부문).

④ EHCR(Efficient Healthcare Consumer Response) : 의료공급체인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관리함으로써 공급체인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비효율적인 요소들을 제거하여 관련 비용을 최소화하려는 업계 전체의 노력이다(주로 의약품 부문).

⑤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 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수령한 상품을 창고에 재고형태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즉시 배송할 준비를 하는 물류시스템이다.

36 채찍효과(Bullwhip effect)

① 공급사슬에서 최종 소비자로부터 멀어질수록 정보가 지연되거나 왜곡되어 수요와 재고의 불안정이확대되는 현상을 말한다.

② 주요 원인 : ㉠ 여러 부문에서의 중복적인 수요예측, ㉡ 일괄주문에 의한 주문량의 변동폭 증가, ㉢결품에 대한 우려로 경쟁적인 주문증대에 의한 가수요, ㉣ 고가 또는 저가정책에 의한 선행 구입,㉤ 긴 리드타임 등을 들 수 있다.

③ 채찍효과를 줄이는 방법 : ㉠ 공급사슬상의 수요 및 재고정보의 실시간 공유, ㉡ 실시간(real time)주문처리, ㉢ 불확실성의 제거, ㉣ 주문량의 변동폭 감소, ㉤ 리드타임의 단축 등을 들 수 있다.

37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특징

① 주제지향성 : 중요한 주제를 중심으로 그 주제와 관련된 데이터들로 조직된다.

② 통합성(일관성) : 데이터들이 전사적인 관점에서 통합된다.

③ 비휘발성(읽기 전용) : 읽기 전용 데이터베이스로서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④ 시계열성(역사성) :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시계열성(시간성) 또는 역사성을 지닌다.

⑤ 접근가능성 : 컴퓨터 시스템이나 자료구조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⑥ 관계형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근간으로 많은 데이터를 다차원적으로 신속하게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시스템이다.


38 데이터 마이닝의 프로세스

① 데이터 추출(sampling) : 자료를 모두 분석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거나, 자료가 너무많아 분석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전체 자료를 대표할 수 있는 표본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한다.

② 데이터 탐색(exploring) : 자료를 분석하기에 앞서, 추출된 자료의 전반적인 형태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③ 데이터 교정(modifying) : 전반적인 자료의 형태를 살펴본 후에 모형개발에 필요한 변수를 선정하고, 필요한 경우 기존의 변수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변수를 생성한다.

④ 모형화 단계(modeling) : 정보를 추출하고 모형을 개발하는(modeling) 단계이며, 분석도구를 직접적용하여 보는 단계로서 데이터 마이닝의 핵심단계이다.

⑤ 모형평가(assessing) : 마이닝도구를 이용하여 얻어진 모형의 설명력과 신뢰성 및 타당성에 관하여평가한다.


 39. XML과 SGML

① XML : SGML에서 파생된 언어이다. XML은 SGML의 특수한 부분집합으로 SGML에 비해 해석과 처리를 단순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XML은 특히 XHTML, RSS, XML-RPC, SOAP 등을 포함해 여러 방면에서 응용되고 있다.

②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문서용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메타 언어이다. IBM에서 1960년대에 개발한 GML(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후속이며, ISO 표준이다.

40 전자상거래 보안의 4가지 차원(원칙)

① 기밀성 : 수신자 이외에는 데이터 보안유지

② 인증 : 송신자와 수신자의 진위 파악

③ 무결성 : 데터의 변조를 방지하여 전달

④ 부인 방지 : 거래의 부인 방지



댓글 없음:

예정공정표_엑셀프로그램 V41 / 공정관리 무료 프로그램 / 데이터 분석-pinterest 실시간모니터링 샘플

 프리킥 /  https://kr.freepik.com/vectors/%EA%B3%B5%EC%A0%95-%EA%B4%80%EB%A6%AC 1.  통합내역프로그램 다운로드(XCOST professional)   http://xcost.me/bbs/b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