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7월 25일 목요일

[특별/경영회계사무] 사례중심 공급망 ESG 대응 실무 - 7.25 / simulation /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 / Carbon Market /

 [특별/경영회계사무] 사례중심 공급망 ESG 대응 실무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은 기업이 환경 보호, 사회적 가치 창출 및 투명한 지배구조를 고려하여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SG, CSR, CSV 등 비슷한 개념이 사용되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존재

ESG는 외부이해관계자(투자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것이므로 수치화 또는 측정가능하여야 함

기업의 자발적 사회공헌/긍정적 이미지 형성에 국한되지 않고 장기 투자 리스크 관리전략 측면에서 비재무적 요소도 장기적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고려해야만 하는 요소로 바라봄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여 취득한 이슬을

시회에 환원할 의무기 있음을 주장

자신활동, 기부, 환경보호 등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강조


CSV-공유 가치 창출 / Creating Shared Value

기업경영시 기업가치와 사회기치를 모두 추구해야 함을 강조

사회적 책임이 기업 본연의 경영활동과 함께 이루어진다고 보는

측면에서 CSR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하게 주장

ESG

ESG 경영(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가장 구체적으로 정의, 투자자 등 외부 이해관계사의 요구에 대응하여 기업경영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중요하게 고려할 것을 강조

RE 100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기업이 2050년까지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자발적인 캠페인입니다. 국제 비영리 단체 클라이밋그룹(Climate Group)이 2014년에 시작했으며, CDP위원회가 협력하고 있습니다. RE100 캠페인의 목표는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고, 기업의 물건을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또한,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재생에너지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21347/blog-ce-why-re100-is-important/



1. ESG경영 - 사회적 책임경영 / 강사 

-https://i-esg.io/


i-ESG

기업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기업의 Pain Point에만 집중합니다.

ESG 분야는 'Good To'에서 'Must' 시장으로 급격히 전환중이며, 기업들에게는 '생존'에 직결되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반면, 기업들은 여전히 여러가지 제약으로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i-ESG는 막연했던 ESG 관리를 보다 편리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E(Environmental): 기업이 환경 문제에 대한 책임을 갖고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 다.

- S(Social): 기업이 사회적 가치 창출과 다양성 인식 등 사회문제에 주목하며 운영하는 것을 의미합니 다.

- G(Governance): 기업 내부의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구조를 구축하여 이사들과 주주들 간의 관계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 KPC 커리큐럼  :https://www.kpc.or.kr/PTWED002_index.do?gubun=mkt&year=2023&seledumn1=&type=A&cclno=49050224

  공급망 ESG 관리의 개념 및  관리, 평가에 관한 국내외 동향을 이해한다.

  공급망 실사 대응을 위한 관리 프로세스 및 실사 관련 준비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

일차

시 간

단원명

세부 학습 내용

학습방법

1일차

(6H)

10:00-11:00

ESG 경영 개요

ESG 경영의 개념 및 목적

ESG 배경 및 동향

ESG 경영의 중요성, 실행방안

ESG 주요 사례 및 시사점

이론

11:00-12:00

ESG 공급망 이해와 동향

왜 공급망 ESG 관리가 확대되는가?

공급망 ESG 관리 주요 동향

EcoVadis/RBA 등 공급망 ESG 평가 이해

이론

12:00-13:00

ESG 공급망

실사 관리 실무

공급망 실사 주요항목 및 준비사항

공급망 실사 대응방안

공급망 실사 후 후속조치 등

이론,

사례분석

14:00-15:00

환경 및 데아터 관리

수자원, 에너지, 폐기물 기반 환경운영

이론,

사례분석

15:00-16:00

노동, 인권, 안전 경영, 거버넌스 구축

ILO 원칙의 주요 인권 쟁점 확인, 대응

사업장 안전보건, 문서 및 산재 데이터 관리

주요 ESG 이니셔티브 확인, 책임과 역할

이론,

사례분석

16:00-17:00

ESG 공시 실무

ESG 공시 필요성과 관련 규제

주요 공시 기준에 대한 이해

공시 실무 및 준비사항, 필요사항 등

이론,

사례분석




- EU 공급망 실사 지침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요약
요 약 ∙ 유럽의회는 지난 6월 1일 ‘EU 공급망 실사 지침(CSDDD)’에 대한 최종 입장을 확정함 - 이후 CSDDD에 대한 유럽의회와 유럽 이사회 간 공식 협상이 진행되고, 올해 연말까지 최종 합의에 도달할 경우 ’24년 발효될 것으로 예상됨 - ’26년까지 회원국에 의해 국내법으로 전환되고, ’27년이 CSDDD 그룹 1*의 적격 기업이 보고 및 공개 표준을 포함하여 CSDDD를 준수해야 하는 첫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됨 ※ 그룹 1: 500명 이상의 직원이 있고 연간 매출이 1억 5천만 유로 이상인 EU 기반 기업 ∙ (적용 범위) 고영향(high-impact) 부문이 적용 대상 기준에서 제외되었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모기업(ultimate parent company)이 적용 대상에 새로 추가됨 - (실사 범위) 공급망(value chain) 범위를 생산, 공급, 유통, 운송, 저장 및 폐기로 지정하고, 제품·서비스 사용 단계인 다운스트림은 제외됨 ∙ (실사 이행 절차) 공급망 범위 내 인권·환경에 대한 부정적 영향 식별 후, 예방·완화·제거 등 적절한 대응 조치 시행 및 실사 준수 내용을 공시함 - △기업 정책에 실사 통합 △영향 요인에 대한 식별 및 평가 △적절한 조치 시행 △고충처리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점검 △공시 △이해관계자 협의 ∙ (제재 조치) EU 회원국들은 동 지침에 따라 공급망 실사 의무 위반 시 적용 가능한 행정 및 금전적 제재 등을 도입하게 되며, 금전적 제재 규모는 기업 매출액을 기준으로 설정됨 - (손해배상 청구) 만일 기업이 부정적 영향의 예방ㆍ축소ㆍ제거 의무를 준수하지 아니하고 이로 인해 손해가 발생한 경우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해짐 ∙ (기후변화 전략) 기업은 지속가능경제, 파리협정 및 EU 기후목표(그린딜 등)에 부합하는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하게 됨 - (경영진 의무) 직원 수 1천명 이상 기업은 기후변화 대응 전략의 이행성과를 경영진 보너스에 반영할 계획임 ∙ (적용 시점) 지침 발효 후 2년 내에 각 회원국들은 국내법을 제정해야 하며, 이후 1년이 추가 경과하면 완전한 효력을 갖게 되기 때문에 ’27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됨 ∙ 대상 기업, 분야 등 최종 합의안 도출까지 법안 내용의 변동 가능성이 있으므로 입법기관 간 논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실질적인 대처 방안과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임


'공급망 실사법'으로 잘 알려져 있는 CSDDD는 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Directive)의 약자

기업이 공급망 및 자사 사업장 운영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을 식별, 예방, 완화, 제거하여 적절한 대응조치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규정이죠. 즉, 공급망 실사는 인권 및 환경과 같은 위험을 평가하고,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한 뒤 이를 주기적으로 검토하며 해당 내용을 보고(공시) 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I -ESG  5분 진단 

https://i-esg.io/promotions

예) 아동 노동, 노예제, 노동 착취, 오염, 삼림 벌채, 과도한 물 소비, 생태계 훼손 등


- COP 28








John Kerry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climate change initiatives, including discussions with the financial sector about mobilizing capital for green technology and clean energy, which aligns with ESG principles. If you’re looking for specific information on ESG education related to John Kerry, could you please provide more details?12


En-ROADS - Climate Interactive

climateinteractive.org의 검색 결과만 보기























2024년 7월 24일 수요일

피그마- uxui-figma/

 웹 기반 툴이기 때문에 설치가 따로 필요하지 않으며, 브라우저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다. 그 말인즉슨 인터넷이 되는 환경이라면 어떤 운영 체제를 사용하든지,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물론 좀 더 나은 퍼포먼스를 위해 네이티브 앱도 지원하고 있다.

피그마https://namu.wiki/w/%ED%94%BC%EA%B7%B8%EB%A7%88(%ED%94%84%EB%A1%9C%EA%B7%B8%EB%9E%A8)

https://www.figma.com/ko-kr/

Figma 다운로드

macOS 또는 Windows용 데스크톱에 Figma 웹 디자인 앱을 설치하 ...

Results for #피그마사용법

피그마사용법 plugins and files from Figma. Explore, install and ...



챗GPT 플러그인 하기

 챗GPT 플러그인 하기 - https://www.youtube.com/watch?v=iyNCWYUc-r0



ChatGPT Plugin의 개념과 사용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실제로 2~3가지 플러그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ChatGPT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본 영상에 포함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플러그인으로 Expedia 호출해서 호텔 예약하기 2. 플러그인으로 Google Drive에 있는 PDF 파일 요약하기 3. 플러그인으로 인터넷 페이지의 내용 요약하기 ChatGPT 업무 활용 등 챗GPT에 대한 교육이나 강연이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이메일 주소로 연락 부탁드리구요, 저에 대한 소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메일: iotstlabs@gmailc.om 강사소개: https://cafe.naver.com/iotioe/9649

【선체구조 및 강도(Hull Structure and Strength)】-
7. 24.(수) 9:00~18:00

【선체구조 및 강도(Hull Structure and Strength)】 


선체구조일반 및 도면의 이해

- 선체구조 강도의 기본 개념

- 용어 설명 및 구조도면 이해

선종별 구조특성 소개

- 선종별 구조적 특성 소개

- 판, 1차지지구조, 2차지지구조, 기둥 등, 선체 주요구조부재 설계

선체국부강도 / 피로 및 좌굴강도 등

피로강도, 좌굴강도 등

선체종강도

선체거더 굽힘강도, 전단강도,

비틀림강도, 좌굴강도 등

==========================

제 10 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한, 영) (2022) (Pt 10 Hull Structure and Equipment of Small Steel Ships (K/E)) - 제 11 편 산적화물선 공통구조규칙(한, 영) (2014) (Pt 11Common Structural Rules for Bulk Carriers (K/E)) - 제 12 편 이중선체 유조선 공통구조규칙(한, 영) (2014) (Pt 12Common Structural Rules for Double Hull Oil Tankers (K/E)) - 제 13 편 산적화물선 및 유조선 공통구조규칙 (한, 영) (2022) (Pt 13 Common Structural Rules for Bulk Carriers and Tankers (K/E)) - 제 14 편 컨테이너선 구조규칙(한, 영) (2022) (Pt 14 Structural Rules for Container Ships (K/E)) - Pt 15 Structural Rules for Membrane Type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E) (2022)

=========================================== 

P. 98 ~   PART 1. Longitudinal Strength

1. Basic Theory

2. Accidents

3. Vertical Bending Moment & Shear Force

4. Permissible SWBM


Kinds of the strength of the ship - by KOREAN REGISTER

1. Global Strength

➤ Bending strength - Bending strength is the maximum stress that a material could withstand when it ruptures under bending load or reaches a specified deflection

➤ Shear strength - Shear strength(전단 강도)는 파단 전에 재료가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전단 응력을 말합니다. 전단 강도는 전단 응력의 영향을 받은 재료의 최대 강도입니다. 흙의 강도를 나타내는 용어로도 쓰입니다. 흙에 힘을 가하면 흙입자가 서로 맞물리면서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지려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때 전단 강도가 나타납니다.

➤ Torsional strength- Torsional Strain은 비틀림 변형율을 뜻하며, 비틀림 시험에서 특정 토크에 대응하는 변형률입니다. 비틀림 변형율은 비틀림 변형에 시편의 반경을 곱한 것과 같습니다. 


2. Transverse Strength - Flexural Strength는 굴곡 강도, 굽힘 강도를 뜻합니다. 플라스틱, 세라믹, 고무 등 다양한 재료의 접어 구부리기에 대한 저항력을 굴곡 강도라고 합니다. 굴곡 강도는 파열에 대한 굴곡 시험에서 표본에서 나타난 최대 굴곡 응력을 말합니다. 굴곡 강도는 UTM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습니다.

*https://www.fortinet.com/kr/resources/cyberglossary/unified-threat-management

➤ Racking


3. Local Strength - There are multiple matches for local strength, including a term used in ship construction and a mode used in SCAD Soft:

  • Ship construction
    Local strength is the strength of each part of a ship's body. It is one of three major categories of vessel strength, along with longitudinal and transverse strength. Local Strength of Ship Structures is a book by Dr. Piero Caridis that examines the basics of ship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including local ship strength problems.
  • Local Strength mode in SCAD Soft is used to check local strength in areas where concentrated loads are transferred, such as from the bearing of beams or purlins.

➤ Panting, Slamming, Local Buckling, Others

➤ Double bottom, T.BHD, Side structure, Deck Structure, Deep tank structure


4. Fatigue Strength


5. Brittle Fracture


+ (Design Loads)    Hogging & Sagging conditions ?

https://heisenbergshipping.com/ship-hogging-and-sagging/

+ Ultimate Strength - Ultimate strength, also known as ultimate tensile strength (UTS), tensile strength, or TS, is the maximum stress a material can withstand before breaking when stretched or pulledIt's a key measure of a material's ability to resist deformation and tensile forces.

+ 인장강도 - https://m.blog.naver.com/newrains/223049308841





----------------------------------------------------------------

- ACCIDENTS : MV "PRESTIGE" OIL SPILL / MV "MSC NAPOLI"

MV "MOL COMFORT" / 

- Basic Theory -Archimedes Principle,  




선급기술규칙 안내서 :

https://www.krs.co.kr/KRRules/KRRules2022/DATA/KR_INTRODUCTION/%EC%84%A0%EA%B8%89%EA%B8%B0%EC%88%A0%EA%B7%9C%EC%B9%99%20%EC%95%88%EB%82%B4%EC%84%9C(%EA%B5%AD).pdf


https://champ.krs.co.kr/yearApply.do



선체구조 및 강도(Hull Structure and Strength) 학술자료

https://blog.naver.com/bs02201/221701915199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잠수함 압력선체 최적 구조설계

https://discovery.ucl.ac.uk/id/eprint/10057427/1/Manuscript.pdf


폴리에틸렌 보트의 구조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https://www.kais99.org/jkais/journal/v14n3/10/474o/474o.pdf


극지 환경 , 저온 , 최종강도 , 선체보강판 , 해석적 방법

https://oak.go.kr/central/journallist/journaldetail.do?article_seq=14651


선박 이중판의 보강법 연구

https://koreascience.or.kr/article/CFKO200111921183629.pdf



선체에 작용하는 하중 - 선종별 구조 특성

1. 선체에 작용하는 하중 - imaged ship size 280,000~300,000 dead weight tons

하향력__선체중량, 호물중량, 관성력 

상향력__정수중 부력, wave에 의한 부력, 관성력

충격력__선수선저 슬래밍, 액체화물의 슬로싱

수평력__해수압력, 적재화물의 압력, 관성력


2. 선체 구조 : 부유체, 박판구조, 긴 구조 -> flexible 한 구조, 운항중 선체변형 발생이 쉬움 


3. 선체파손 모드: 항복, 좌굴, 피로(파괴), 취성(파괴), 최종 종강도(내하력 저하)

4. 선박의 횡강도 : 적재화물, 해수압작용- 선측, 선저변형-선박 횡단면 변형에 저항하는 강도

5. 보강판 구조(stiffened plate) , in plane load  ?

In-plane loading can refer to a number of topics in engineering, including:
  • Thin plates
    Thin plates under in-plane loading usually have almost zero off-plane stresses.
  • Infilled frames
    When an infilled frame is under in-plane loading, the frame members and infills work together to resist the load.
  • Masonry walls
    Masonry walls under in-plane loading can be modeled using two-dimensional (2D) Cauchy and Cosserat models.
  • Failure modes
    In-plane loads can cause failure modes such as in-plane shear, diagonal cracking, and combined compression and bending.
  • In-plane flexure load-deflection curves
    In-plane loads can cause in-plane flexure load-deflection curves with elastic, inelastic hardening, and inelastic softening stages.
  • Horizontal slabs
    In-plane forces can stretch, compress, and shear the centroid plane of a horizontal slab in plan view, but they don't cause the slab to deviate from the plane defined by the slab centroid. 
  • jettison-제티슨의 사전적 의미는 '필요없는 것을 버리다'이다. 해상운송에서 제티슨(Jettison)은 짐을 실은 배가 항해중 풍랑, 좌초, 화재등 더 이상 항해를 지속할 수 없는 위기상황에 처해 짐을 버려 배를 가볍게 만드는 행위를 뜻하는 전문용어다.

6. 선종별 구조 특성

(1) 산적화물선(Bulk Carrier)-산적화물선(Bulk Carrier)은 곡물, 광석, 석탄 등의 포장되지 않은 산적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선입니다. 벌크화물선(벌크선)이라고도 합니다. 산적화물선은 수송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특정 화물만 운송하는 전용화물선과 다양한 산적화물을 운송하는 겸용선으로 구분됩니다.

(2) 유조선(Tanker)- 유조선(Tanker)은 선체에 설비한 탱크에 석유(주로 원유)를 넣어서 운반하는 선박입니다. 일반적으로 오일탱커(oil tanker)라고도 불리며, 컨테이너선과 구조만 다릅니다. 유조선은 원유, 석유제품 등 액체화물을 비포장 상태로 수송합니다.

(3) 컨테이너 운반선- https://m.blog.naver.com/gppcgppc/221407014203

- https://namu.wiki/w/%ED%99%94%EB%AC%BC%EC%84%A0

A cargo ship is a large boat that travels on water and carries goods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argo ships, including those that specialize in transporting specific types of cargo

(4) 자동차전용 운반선(RO-RO)- 자동차전용 운반선(RORO선)은 Roll on/Roll off 선박을 줄인 말로, 바퀴 달린 운송수단을 배 안으로 바로 싣고 나를 수 있는 선박 전체를 말합니다. 자동차만을 전용으로 운송하도록 설계되고 장비를 갖춘 배를 차량운반선(Car Carrier)이라고 하며, 승용차 전용선(PCC : Pure Car Carrier)과 승용차/트럭 전용선(PCTC : Pure Car and Truck Carrier)으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Roll-on/roll-off (RORO or ro-roships are cargo ships designed to carry wheeled cargo, such as carsmotorcyclestruckssemi-trailer trucksbusestrailers, and railroad cars, that are driven on and off the ship on their own wheels or using a platform vehicle, such as a self-propelled modular transporter. This is in contrast to lift-on/lift-off (LoLo) vessels, which use a crane to load and unload cargo.

&& 여객선 선체구조 및 강도-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010775

https://www.ulex.co.kr/%EB%B2%95%EB%A5%A0/65837-35661-%EC%B9%B4%ED%8E%98%EB%A6%AC%EC%84%A0%EB%B0%95%EC%9D%98%EA%B5%AC%EC%A1%B0%EB%B0%8F%EC%84%A4%EB%B9%84%EB%93%B1%EC%97%90#google_vignette


https://www.krs.co.kr/KRRules/KRRules2022/data/data_part/korean/pK030000.pdf





7. 선박도면 ?선박도면은 선박의 구조와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선박을 건조할 때 사용됩니다. 선박도면은 3D 툴로 제작한 후 현장 작업자를 위해 2D 도면으로 재가공하기도 합니다. 선박도면을 볼 때는 다음 사항을 유의하세요:

https://blog.naver.com/dsjang650628/221654621001


3D모델링 : https://open3dmodel.com/ko/3d-models/watercraft

-https://www.turbosquid.com/ko/3d-model/vessel-interiors-and-exteriors

-https://3dmodels.org/ko/3d-models/ship/service-ship/

-https://www.cadmatic.com/ko/marine/references/3d-model-technology-island-in-ship-design-or-a-central-piece-for-shipbuilding-project-data/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rawing&no=259696

도면작성 CAD :

  • 선박 자체의 무게는 수면하의 잠긴 부분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중량에 해당하며, 법정 Spare part, Main 엔진 Starting을 위한 각종 기기, 파이프, 탱크 내에 들어있는 최소한의 기름과 물만을 선적한 상태에서 계산합니다.
  • 선박의 폐선 시 Scrap 가격을 결정하는 데에도 선박 자체의 무게가 이용됩니다.

예정공정표_엑셀프로그램 V41 / 공정관리 무료 프로그램 / 데이터 분석-pinterest 실시간모니터링 샘플

 프리킥 /  https://kr.freepik.com/vectors/%EA%B3%B5%EC%A0%95-%EA%B4%80%EB%A6%AC 1.  통합내역프로그램 다운로드(XCOST professional)   http://xcost.me/bbs/b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