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관리- 경영정보시각화 https://www.ncs.go.kr/unity/th03/ncsSearchMain.do
학습모듈의 목표-기업 내외부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 요소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선수학습- 시각디자인 프로젝트 기획(LM0802010111_20v3), 프레젠테이션(LM0802010106_20v3), 빅데이터분석결과시각화(LM2001010509_15v1)
핵심 용어
경영정보, 시각화, 인포그래픽, 의사결정, 전략과제, 조직과제, 엑셀, 파워포인트, 데이터, 엑셀
1. 경영정보시각화 계획하기
경영정보시각화계획하기
1-1. 경영정보시각화 필요과제의 발굴과 요구사항 분석0202030211_22v1.1
1-2. 경영정보시각화 목표 수립
2. 경영정보시각화 데이터 가공하기
2-1. 과제에 적합한 데이터의 선정0202030211_22v1.2
2-2. 데이터 가공
3. 경영정보시각화요소 구현하기
3-1. 경영정보시각화요소 디자인0202030211_22v1.3
3-2. 경영정보시각화 도표의 검증
4. 경영정보시각화 결과 활용하기
4-1. 경영정보시각화 결과 활용 0202030211_22v1.4
- 경영정보분석 도구
경영정보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웨어하우스, 데이터 마이닝,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Business Intelligence) 등의 기술과 도구를 활용하여 구축되고 분석된다
-경영정보시각화를 위한 다양한 도구와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레드
시트 프로그램(예: M사의 Excel), 데이터 시각화 툴(예: Tableau, Power BI), 프로그래밍
언어와 라이브러리(예: Python의 matplotlib, seaborn, R의 ggplot2) 등을 많이 사용한다
지금 무료 체험판 다운로드 — 여러분의 팀 전체를 위한 무료 교육 자료 및 풍부한 지원을 통해 성공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모든 기능을 갖춘 무료 30일 평가판을 지금 바로 체험해 보십시오. 코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스폰서
html5 기반 시각화 차트 / 맵차트 / 각종 DB 연동 지원. 자동 리포팅 / 인터렉티브 리포트 / html5 기반 차트 / 모바일 디스플레이 지원. 자동 업데이트 리포트.
각 부서의 요구사항에 맞는 시각화 도구나 기술을 제안한다.
1) Excel
2) Tableau
3) Power BI
4) Matplotlib/Seaborn
5) D3.js
- 발굴된 과제로부터 세부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1.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1) 시각화를 이용하는 주요 사용자는 누구인가?
(경영진, 부서 관리자, 분석가, 고객 등)
(2)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려고 하는가?
(매출 동향, 재고 현황, 인력 분석 등)
(3) 사용자는 어떤 기기 또는 플랫폼에서 시각화를 사용하고자 하는가?
(데스크톱,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 가상현실, 증강현실, 확장현실, 메타버스 등)
2. 데이터 유형 및 규모를 분석한다.
(1) 어떤 유형의 데이터를 시각화해야 하는가?
(예: 숫자, 텍스트, 지리적 데이터)
(2) 데이터는 어떤 형식으로 제공되는가?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 API 등)
(3) 데이터의 규모는 얼마나 큰가?
(작은 규모의 데이터셋 또는 대규모의 빅데이터)
3. 과제별 요구하는 시각화의 목적을 정의한다.
(1) 시각화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예: 데이터의 패턴 파악, 결정 지원, 보고서 작성 등)
(2) 어떤 유형의 시각화가 필요한가?
(예: 차트, 그래프, 지도, 대시보드 등)
(3) 시각화의 사용 환경과 컨텍스트는 어떻게 되는가?
(실시간 모니터링, 정기 보고서, 대시보드 등)
4. 상호작용과 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확인한다.
(1) 사용자는 시각화와 상호작용해야 하는가?
(드릴다운[그림 1-7], 필터링, 선택 등)
(2) 특정 이벤트나 조건에 관한 경고 또는 알림이 필요한가?
(3)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한가?
(출력, 내보내기, 공유 기능 등)
- 드릴다운이 포함된 시각화 데이터: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상세 정보로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이다. 예를 들어, 한 차트에서는 전체 매출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매출을 더 자세히 확인하고 싶을 때, 해당 지역으로 드릴다운하여 그 지역의 매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시각적 디자인에 관한 환기, 주의, 스타일 등에 관해 분석한다.
(1) 시각화의 디자인적 요구사항이 특별하게 있는가?
(도표의 종류, 색상, 레이아웃, 글꼴, 로고 등)
(2) 시각화의 사용자 경험과 직관성이 중요한 요소인가?
(XR 또는 메타버스와 같이 인터렉션을 통한 사용자 경험이 가능한 경우 등)
- XR환경에서의 경영정보시각화 : XR(extended reality)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융합한 체험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을 일컫는 용어이다. 많
은 기업이 XR 환경에서 경영정보를 시각화해 제공하는 추세이다. XR을 활용하여 경영정보를 시각화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 공간적 표현: XR 기술은 현실 공간에 가상 객체를 배치하여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기업의 경영 데이터를 3D 모델, 그래프, 차트 등의 가상 객체로 표현하면 사용자는 공간적인 관점에서 데이터를 탐색하고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상호작용: XR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가상 세계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경영정보시각화를 XR로 구현하면 사용자는 가상 객체를 조작하거나 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정렬하는 등의 상호작용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하고분석할 수 있다.
- 실시간 데이터 표시: XR 기기는 실시간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서 실시간 경영정보를 XR 환경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실시간 분석과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협업과 공유: XR 환경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가상 공간에 접속하여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경영정보를 XR로 시각화하면 여러 사용자가 함께 데이터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데이터에 관한 공유와 협업이 용이해진다.
- 시각화 방법과 도구 선택: 시각화 목표에 맞는 적절한 시각화 방법과 도구를 선택
데이터의 특성과 목표 그룹의 요구사항에 따라 시각화 방법과 도구는 달라질 수 있다.
막대 그래프, 원그래프, 선그래프 등 다양한 시각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Tableau,
Power BI, Python의 matplotlib과 seaborn 라이브러리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경영정보시각화 데이터 가공하기
경영정보시각화를 위한 데이터의 형식
-1. 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
정형 데이터는 표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이다.
(1) 엑셀 스프레드시트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같은 형태로 저장
(2) 경영정보는 대부분 정형 데이터로 구성되어 통계 분석 기법 적용이 용이
2.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
비정형 데이터는 구조화되지 않은 형태의 데이터로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1) 고객 리뷰, 소셜 미디어 게시물, 웹사이트의 내용 등이 비정형 데이터에 해당
(2) 비정형 데이터는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분석 및 시각화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컴퓨터 비전은 컴퓨터를 사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나 비디오를 처리하고 해석하는 기술 분야이다. 이를 통해 컴
퓨터는 이미지나 비디오에서 특정 객체를 감지하고 분류하며, 패턴이나 동작을 인식하고 해석할 수 있다. 객
체 감지와 추적, 얼굴 인식, 의료 이미지 분석, 자율 주행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3. 시계열 데이터(Time Series Data)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한 데이터 포인트를 [그림 2-1]과 같이 표현하는 데이터 유형이
다. 시간에 따른 패턴, 추세, 계절성 등을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데 유용하다.
(1) 주식 가격, 기상 데이터, 판매량 추이 시계열 데이터
출처: 한화투자증권 애플리케이션
4. 공간 데이터(Spatial Data)
지리적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지도와 관련된 정보를 다룰 때 중요하다.
(1)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같은 도구를 활용해 분석시각화
(2) 지리적인 위치에 따른 인구 통계, 지역별 판매 데이터 등이 공간 데이터
출처: 총조사시각화지도(https://sgis.kostat.go.kr/).
5. 그래프 데이터(Graph Data)
노드(node)와 노드 사이의 관계(edge)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말한다. 소셜 네트워크, 전자
메일 네트워크, 웹사이트의 링크 구조 등이 그래프 데이터
(0) 경영정보시각화가 필요한 부서의 수요를 취합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부서별 수요조사를 통해 각 부서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적합한 시각화 도구와 기술을
제안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절차로 부서별 경영정보시각화 수요를 조사한다.
(가) 수요조사 목적 및 범위 설정
1) 어떤 부서들에 관한 수요조사를 진행할 것인지 결정
(예: 영업, 마케팅, 재무, 인사 등)
2) 각 부서에서 경영정보시각화에 관한 필요성과 기대 효과에 관한 목적을 설정
(나) 인터뷰 또는 설문지 작성
1) 각 부서의 담당자들과 면담하여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부서 전체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
2) 질문은 부서별로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
①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다루는지, 어떤 형식으로 데이터가 제공되는지
② 어떤 시각화 도구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지, 장단점은 무엇인지
③ 어떤 유형의 시각화가 필요한지, 어떤 분석과정을 거치는지
④ 어떤 기능이나 기술을 통해 시각화가 개선될 수 있는지
(다) 데이터 분석
1) 부서별 수집된 응답과 데이터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공통된 요구사항이나 패턴 분석
2) 부서의 우선순위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요구사항을 정리
(라) 시각화 도구 및 기술 제안
각 부서의 요구사항에 맞는 시각화 도구나 기술을 제안한다.
1) Excel
2) Tableau
3) Power BI
4) Matplotlib/Seaborn
5) D3.js
(마) 보고서 작성
1) 조사 결과를 요약하고 각 부서에 제안한 사항을 포함한 보고서를 작성
2) 각 부서의 요구사항에 관한 우선순위, 시각화 도구 및 기술의 이점과 활용 방안, 구
현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리소스 등을 명시
발굴된 과제로부터 세부 요구사항을 분석한다.
1.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1) 시각화를 이용하는 주요 사용자는 누구인가?
(경영진, 부서 관리자, 분석가, 고객 등)
(2) 사용자는 어떤 종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려고 하는가?
(매출 동향, 재고 현황, 인력 분석 등)
(3) 사용자는 어떤 기기 또는 플랫폼에서 시각화를 사용하고자 하는가?
(데스크톱,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 가상현실, 증강현실, 확장현실, 메타버스 등)
2. 데이터 유형 및 규모를 분석한다.
(1) 어떤 유형의 데이터를 시각화해야 하는가?
(예: 숫자, 텍스트, 지리적 데이터)
(2) 데이터는 어떤 형식으로 제공되는가?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시트, API 등)
(3) 데이터의 규모는 얼마나 큰가?
(작은 규모의 데이터셋 또는 대규모의 빅데이터)
3. 과제별 요구하는 시각화의 목적을 정의한다.
(1) 시각화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예: 데이터의 패턴 파악, 결정 지원, 보고서 작성 등)
(2) 어떤 유형의 시각화가 필요한가?
(예: 차트, 그래프, 지도, 대시보드 등)
(3) 시각화의 사용 환경과 컨텍스트는 어떻게 되는가?
(실시간 모니터링, 정기 보고서, 대시보드 등)
4. 상호작용과 기능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확인한다.
(1) 사용자는 시각화와 상호작용해야 하는가?
(드릴다운[그림 1-7], 필터링, 선택 등)
(2) 특정 이벤트나 조건에 관한 경고 또는 알림이 필요한가?
(3)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한가?
(출력, 내보내기, 공유 기능 등)
드릴다운
드릴다운은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상세 정보로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이다. 예를 들어, 한 차트에서는 전체 매출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매
출을 더 자세히 확인하고 싶을 때, 해당 지역으로 드릴다운하여 그 지역의 매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5. 시각적 디자인에 관한 환기, 주의, 스타일 등에 관해 분석한다.
(1) 시각화의 디자인적 요구사항이 특별하게 있는가?
(도표의 종류, 색상, 레이아웃, 글꼴, 로고 등)
(2) 시각화의 사용자 경험과 직관성이 중요한 요소인가?
(XR 또는 메타버스와 같이 인터렉션을 통한 사용자 경험이 가능한 경우 등)
XR(extended reality)은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융합한 체험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을 일컫는 용어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정보
- 진행 상황과 사업 성공 여부를 측정하는 데 사용할 핵심성과지표 정보
- 시각화 방법과 도구 선택: 시각화 목표에 맞는 적절한 시각화 방법과 도구를 선택
데이터의 특성과 목표 그룹의 요구사항에 따라 시각화 방법과 도구는 달라질 수 있다.
막대 그래프, 원그래프, 선그래프 등 다양한 시각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Tableau,
Power BI, Python의 matplotlib과 seaborn 라이브러리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 출처: 비즈인포. 월간 생산계획 및 실적표. https://www.bizinfo.go.kr/
- ※ 온보딩경험(Onboarding Experience)
신규 사용자가 제품‧서비스를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행동 등을 얻는 과정을 말함/출처: 경쟁사분석기법. http://getcloudapp.com에서 2023. 7. 26. 검색 재구성.
- 리스크 분석 정보
- 전략적 목표 달성을 방해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를 분석한 정보
- 식별된 위험요소를 해결하기 위한 완화 또는 우회 전략 정보
출처: UN(2023). The 17 GOALS. https://sdgs.un.org/goals에서 2023. 6. 10. 검색.
[그림 2-9] 목표를 포함한 UN기구의 SDG이니셔티브 시각화 자료
직무 인터뷰:
부서별 과제 시각화에 요구되는 경영 데이터:
기업의 실무 부서별로 요구되는 경영 데이터는 다양하며, 각 부서의 목적과 업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 2-2>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주요 실무 부서에서 요구되는 경영 데
이터를 정리
1. 재무 부서: -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산관리 데이터 등
2. 인사 부서
- 인력 현황
- 급여 데이터
- 근태 정보
- 인사평가 결과
- 인사 이벤트 등
3. 영업 부서
- 매출 데이터
- 고객 데이터
- 판매 동향 정보
- 마케팅 활동 결과 등
4. 공급망부서
- 원자재 조달, 생산관리 정보
- 재고 관리, 물류 정보
- 생산량
- 납품 일정
- 납품업체 정보
- 운송비 데이터 등
5. 마케팅 부서
- 시장 조사 결과
- 소비자 행동 데이터
- 광고 효과 분석
- 마케팅 캠페인 성과 등
6. 연구개발
전담 부서
- 예산 및 재무 데이터
- 인력 및 인사 데이터
-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
- 시장 및 경쟁 데이터
- 품질 및 품질 관리 데이터
- 지식관리 데이터(IP, 논문 등)
7. 생산 부서
- 생산량
- 품질관리 정보
- 비용 및 자원 관련 정보
- 공급망 데이터
- 생산 효율성 데이터(불량률 등)
- 재고 관련 데이터 등
8. 경영전략기획부서
- 재무 데이터
- 시장동향 분석 데이터
- 고객 데이터
- 기업운영 데이터
- 경쟁사 데이터
- 기업 내부 데이터
- 기업 외부 데이터 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