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Understanding the ECSS standardisation system
2. the ECSS standardisation documentation model
- standards
- handbook
- technical memoranda
3. Application of ECSS standards in space projects
4. Dissemination of ECSS information
ESA 국가별 분담금
출처: www.esa.int
- 한국은 Galileo Project
- 우주 정책
1) 임무
(6) ESA는 우주연구 및 우주기술 그리고 우주응용 분야에 있어서 유럽국가간
평화적 협력의 추진과 보장을 주요 임무로 함. (7) 장기 유럽우주정책의 수립과 시행, 기타 국내/국제기구와 관련하여 회원국의
정책 협의. (8) 우주활동 및 우주프로그램의 수립과 시행. (9) 유럽우주프로그램과 국내프로그램의 조정, 특히 실용위성 개발과 관련하여 국
내프로그램의 점진적 그리고 가능한 한 완전한 유럽 우주프로그램으로의 통합. (10) ESA 프로그램에 적합한 산업정책의 수립과 시행, 회원국에게 통일된 산업정책
권고. 2) 활동범위
(11) ESA 활동은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의무적 활동(mandatory activities)'과
공식적으로 불참을 선언한 회원국을 제외한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선택적
활동(optional activities)'으로 구분됨 (ESA설립협약 제V.1조)
(12) 의무적 활동
(가) 교육, 자료수집, 미래 프로젝트 연구, 기술연구 등의 기본적 활동
(나) 위성과 기타 우주시스템을 포함한 과학프로그램의 시행
(다) 국제/국내프로그램의 조화를 목적으로, 회원국에게 관련 정보의 수집배포, 흠결 또는 중복 알림, 조언과 지원 제공
(라) 우주기술 이용자와의 규칙적인 관계 유지와 이용자 요구사항 파악
(13) 선택적 활동
(가) 인공위성 연구․개발․제조․발사․궤도진입․통제와 기타 우주시스템
(나) 발사시설과 우주수송시스템의 연구․개발․건설․운용
댓글 없음:
댓글 쓰기